2019년 12월 27일 금요일

경복궁 (Gyeongbokgung)

야간 관람이 된다는 글을 보고 가봤는데 아뿔싸! 인터넷으로 미리 예매한 사람만 입장 가능해서 발길을 돌렸습니다. 주위에 저 같은 사람이 많더군요.

야간관람이 되지만 예매 안 해도 되는 고궁은 덕수궁과 창경궁일 겁니다.
다음날 오전에 가니 입장이 가능했는데(3000원) 궁은 덕수궁에서 많이 봐서 별로였고 뒤쪽으로 가니 정원이 있던데 폭염인데도 시원한 느낌이 들어서 좋았습니다.
중간에는 식용 가능한 음수대도 있었고 한복 입고 관람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날씨가 30도를 넘었는데도 관광객이 많더라고요.
끝부분에는 민속 박물관이 있었는데 한국인이라면 익숙한 물건이라도 눈으로 보니 느낌이 다르네요.

이걸 보니까 한자를 잘 쓰네 라는 생각이.. (저는 한자 수업을 받긴 했어도 저렇게 쓰기 어렵더라고요.)
인상 깊었던 건 조선 시대 식사량인데 반찬보다 밥의 양이 어마어마하네요. 현재 성인의 5배 이상이었습니다. 반찬도 짠 밴댕이에 상추뿐이었고요.
여기까지가 8월에 방문했던 후기이고 12월에 가니 이런 식으로 복식도 바뀌더군요. 박물관 안의 문화재도 겨울에 맞게 바뀌어 있고요. 계절마다 가도 볼 게 많을 거 같습니다.

북촌한옥마을

처음부터 이야기하자면 볼 거 별로 없습니다. 외국인들에게 처음 보는 건물 양식을 즐긴다는 의미는 있겠지만 길이가 매우 짧은 관광지라 한국인에겐 매력이 없을 거예요.
거기다가 조용히 하라는 글자의 노란색 옷 입은 분들이 계속 서 있는데 중국인 빼고는 다 소곤거리더군요.
중간에 있던 상점에서 팔던 과자인데 검색하니 인터넷에서도 파네요. 타래과자라는 건데 제가 아는 그게 맞는다면 딱딱한 식감의 과자에요.

G게스트하우스

서울 이태원에 위치한 게스트 하우스입니다. 1박 묵었는데 위치는 이태원 역에서 가깝습니다. 낮에는 이런 형태의 건물을 찾으면 되고 밤에는 G라는 글자가 멀리서도 보이니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들어갈 때 예약 확인하고 키 보증금 만원을 냅니다. 라커룸과 출입문, 방문키 3종인데 나갈 때 반납 안 하는 사람이 있어서 그런 듯. 나갈 때 키를 내면 보증금도 돌려줍니다.


방에 들어가는 방법은 직원이 안내해주며 침대 위에는 수건 2개가 있고 욕실은 좁지만 깨끗하고 따뜻한 물 빵빵하게 나옵니다. 사람들이 많이 쓰는 아침 시간대엔 약하게 나오지만요.

바닥도 난방인지 따뜻해서 겨울인데도 잘 잤습니다. 짐은 라카룸에 보관하면 되니 보안은 크게 걱정 안 하셔도 되고요.


아침엔 빵이랑 잼, 우유랑 시리얼, 계란을 프라이팬에 구워 먹게 준비해줍니다. 8시부터인데 일찍 가거나 늦게 가야 사람들 피해서 느긋하게 식사 가능합니다.

저는 꽤 만족스러웠습니다. 도미토리룸이라서 저렴한 데다가 조식 무료 제공에 수건까지 주고요. 와이파이도 잘 터지고 핸드폰 충전기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도 침대 옆에 있습니다.

도미토리에서 잘 때는 아래층에 자야 전등 불빛을 피해서 자기 좋더군요.